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장애와 이상행동

by DP_stydyclass 2023. 2. 23.
반응형

그간 우리 사회에서 정신병이라 하면 매우 심각한, 혹은 상종해서는 안 될 정도로 심각한 정신 이상자들을 떠올리게 했었다. 그러나 최근 많은 미디어와 연예인들을 통해 사람들에게 알려진 공황장애와 우울증도 정신병에 속하는 질환들이다. 또한 매우 유명한 뮤지컬 지킬 앤드 하이드의 주인공의 이중인격도 인격장애로 불리는 정신병의 영역에 속한다. 이처럼 우리는 조금씩 정신병 혹은 정신질환들에 익숙해져 왔다. 오늘은 심리학에서 이러한 정신병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알아보자.

심리학자들은 정신질환을 심리 장애 혹은 정신병리라고 표현한다. 이는 건강하지 못하거나 이상하다고 여겨지는 심리적 기능을 포괄적으로 서술하는 단어이다. 그럼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이상행동을 정의하고 분류할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로젠한과 셀리그먼(Rosenhan & Seligman, 1989)이 정의한 일곱 가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그들은 고통 및 장애, 부적응, 비합리성, 예측 불가능, 비관습성과 통계적 희소성, 목격자의 불편, 도덕적 규준의 위반으로 총 일곱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일곱 가지 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자.

 

1. 고통 및 장애

개인이 고통이나 장애를 겪으며 심리적으로 기능의 문제가 생기거나 자유의지로 행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생긴다. 이는 신체적인 기능의 문제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의 곁을 떠나 기숙사로 간 학생이 집이 그리워 너무 많이 눈물을 흘린다면 그는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누릴 수 없다.

 

2. 부적응

모두가 짐작하듯이, 말 그대로 특정 환경 및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들은 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 행위를 하며 예시로는 지나친 음주로 인한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사람이 있다.

 

3. 비합리성

이는 타인이 이해할 수 없는 비합리적인 사고와 행동을 한다. 대표적으로 헛것을 본다든지 환청을 듣는다든지 하는 것들이 있다.

 

4. 예측 불가능

상황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며, 그들의 행위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두뇌로는 예측할 수 없다. 가령 갑자기 물건을 집어 던지거나 무엇인가를 부수는 행위들을 이유 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5. 비관습성과 통계적 희소성

그들은 일반적이지 않고 사회가 수용하거나 바람직하다고 인정되는 행위들에서 벗어나서 통계적으로 매우 희소한 행동을 한다. 다만, 비관습적인 행위들이 모두 이상행동인 것은 아니다. 이는 통계적으로 희소한 행위들이어야 하며, 사회가 수용되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들이어야 이상행동이라고 한다.

 

6. 목격자의 불편

그들의 행위들은 타인에게 위해를 가하거나 불쾌감을 주며 이는 목격자 혹은 주변인에게 스트레스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갑자기 전화해서 운다던가, 길을 지나가며 욕설을 내뱉는다거나 큰 소리로 소리를 지르는 행위는 주변인뿐만 아니라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준다.

 

7. 도덕적 규준의 위반

비도덕적인 행위들도 이상행동으로 분류된다. 비도덕적 행위의 예시로는 돈을 훔친다거나, 패륜을 저지르는 것들이 있다.

 

위의 일곱 가지 기준으로 이상행동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는 객관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객관성의 확보가 여기서 중요한 이유는 역사적으로 자신의 이득을 위해 타인을 비정상이라고 판단 내린 경우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 이는 백인들이 흑인 노예화를 합리화하는 과정에서 수없이 많이 일어났다. 이는 루이지애나 의학회에 의해 조사된 가짜 질병들이었는데, 그들은 흑인들이 본인들에게 행해지는 처벌에 대해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는 질병이 발견되었다고 하였으며, 그 이후 자유를 찾는 병(drapetomania)이라는 정신병에 의해 그들이 탈출을 시도하기에 도망간 노예는 잡아 온 뒤에 정신적 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기록과 역사가 객관성 확보의 중요성을 증빙하기에 우리는 이를 판단할 때 항상 객관성을 확보하려고 끝없는 노력을 기해야 한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장애-기분장애  (0) 2023.02.25
심리장애-불안장애  (0) 2023.02.23
매슬로의 욕구 위계  (0) 2023.02.20
동기(Motivation)  (0) 2023.02.1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0) 2023.02.18